Archive for the ‘시스템’ Category

페이스북 끊기

Thursday, September 15th, 2011

페이스북은 끊을 만하다. 페이스북은 관계를 뒤틀 수 있고 오해를 쌓을 수 있다.

[최보식 칼럼] 안철수씨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의문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Thursday, September 15th, 2011

[최보식 칼럼] 안철수씨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의문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평소 조선일보 열독자로서 안타까움은 조선일보 기자들의 자질에 관한 것이다. 이 경쟁력있다고 뽑힌 기자들이 기실 대단히 쫌스럽고 별반 우수하지도 않다는 점이 빈번히 거슬린다.

위 기사의 최보식도 그렇다. “내가 알고 있는 인간본성으로는 위장을 하지 않고는 그러한 행동이 나올 수 없다.” 이렇게 대단하고 놀라운 발견은, 그래 그의 말대로 하자면 “사고의 깊이와 축적된 독서, 교유관계가 이 정도인가에 더 놀”라지 않을 수 없는, 매우 건방지고 단정적인 내용이다.

최보식은, “그는 역사와 세상에 대해 치열하게 숙고하며 자기 전공분야만큼 공부한 적이 없다”라며 위와 같이 놀랐다고 말한다. 어디다 대고 공부 운운하는가. “응징” “대가” 등의 낱말에서 위와 같은 주장을 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참으로 안타깝다.

이 기사를 읽으면서 네다섯 군데에서 눈살을 찌푸리게 됐는데 박은주 등의 기사에서처럼, 결론은 이 기자들의 “사고의 깊이”가 “이 정도”인가에 다시 한번 놀랐다는 것이다. 하긴 놀랐다는 날 보고 놀라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세상이 되었다.

조선일보가 “응징” 될 역사적 발전의 날을 기대한다.

Update: 같은 ‘안철수’ 제목 장사지만 박미향의 것은 아주 조금 더 낫다.

초절정 범생·진지대왕…안철수를 떠올리다 : 매거진esc : 특화섹션 : 뉴스 : 한겨레.

[제858호] 내 인생의 떡볶이 : 문화 : 뉴스 : 책장 찢어먹는 여자 : 한겨레21

Wednesday, September 14th, 2011

[From [제858호] 내 인생의 떡볶이 : 문화 : 뉴스 : 책장 찢어먹는 여자 : 한겨레21]

떡볶이와 지금 읽는 <In the Plex: How Google Thinks, Works, and Shapes Our Lives> by Steven Levy, 이 책의 조화가 오묘하다. 뭔가 말하기 어려운 그것.

“어떻게 무엇으로 바뀌든 바뀌어 가겠지.” 구글의 초기가 딱 그랬구나.

Michael Arrington and AOL Part Company – NYTimes.com

Wednesday, September 14th, 2011

“The old media model is you work for the brand, and the brand rubs off on you,” Mr. Jarvis said. “The new model is you are the brand. If a blog is a person, can you buy the blog and thus buy the person and all of their attributes?”

[From Michael Arrington and AOL Part Company – NYTimes.com]

평안감사도 저 하기 싫으면 그만. 개인 브랜드화. 우리는 문성실닷컴 정도?

비교

Tuesday, September 13th, 2011

어제 오늘 팀 우, ‘조나뜬’ 지트레인을 검색.

발행한 책이나 논문을 읽고.

그들이 미치는 영향력과 파급효과. 흥미가 배가됨.

우리 현실을 돌아 봄. 논문 일부 찾아 훑어 봄. 학회라는 데도 가서 들여다 봄. 요즘 신문 등에서 펼쳐지는 우리 현실과 위기 등에 대해서 어떤 연관과 방안이 있는지 의문이 별로 풀릴 기미가 안 보임.

우 교수와 지트레인 교수의 약력과 우리 교수님들 약력 비교. 이들은 이미 학부 때부터 꼬박 쌓아 온 이력이, 우리 현실과 너무 다름. 무슨 위원회 등등 직책 나열해 놓은 산더미 같은 자리들을 보며 한숨만 더 나옴. 도대체 현실과 그 위원회 위원직은 어떤 연관을 가질 수 있나.

더욱 정진할 뿐.

IT 강국?

Monday, September 5th, 2011

올해 봄에 70년대에 미국으로 이주해서 변호사가 되신, 60대 후반의 선배님 ((정확히 우리 아버지 연세이신데, 대략 5-6년 전부터 밖에서 알게 된 분들을 이렇게 부르는 게 좋아졌다.))을 알게 됐다. 같은 교회에서 우리 구역 구역장님의 친구분이셨는데, 이 두 분은, 내 시각으로 보기에, 매우 독특하셨다. 앉자마자 요즘 사회, 과학 등에 대한 질문과 대답, 토론을 이어가셨다. 통상 어르신들이 나누시는 일상의 토픽과는 거리가 있었다. 내게도 말할 기회가 주어졌고, 앞으로 갈 길에 대해 여러가지로 여쭙고 하던 와중에, 아주 중요한 질문을 던졌다.

“미국으로 온 게 잘 한 걸까요? 제가 영어로 사유하고 삶을 살아가는데 미국이, 영어가 어떤 의미일까요?”

“미스터 조, 하루에 미국에서 출간되는 책이 몇 권인 줄 아나? 한국 출판 책은? 모르긴해도 꽤 차이가 날걸세. 영어와 한국어로 된 정보의 양 차이는 예나 지금이나 좁아지지좁혀지지 않을 걸세. 앞으로 더 차이가 나지 않을까?”

그 두 분의 관심사는 그냥저냥한 일상이 아니었다. 우리 구역장님은 매주 받아보는 <타임>지를 반으로 접어 옆구리에 끼고 다니시는 분이고, 그 변호사께서는 그 날 자리에 앉기도 전에, 보자마자 내게 그 날 자 엘에이 타임스 기사 복사본을 건네셨다. 그 날 많은 걸 보고 느꼈다.

IT 강국이라는 말. 우리 사회의 지향점이다. 참 잘 찾았다. 마침 오늘 에스티마의 인터넷 이야기 <아이패드로 TV보고, 신문, 책 읽기>허지웅의 블로그 글 <심형래라는 이름의 욕망>을 읽었다. 그리고 궁금해서 “콘텐츠”로 구글링해서 얻어 찾아 간 한국콘텐츠 진흥원 홈페이지.

이제부터 초절정 각성하여 마구 쏟아낸다해도 영어로 된 정보의 양을 압도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IT 강국을 하고 싶으면 콘텐츠 양에 신경 써야 한다. 양이 확보돼야 질적 향상도 도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애플의 영광, 납품업체 눈물 먹고 컸나 : 경제일반 : 경제 : 뉴스 : 한겨레

Saturday, September 3rd, 2011

[From 애플의 영광, 납품업체 눈물 먹고 컸나 : 경제일반 : 경제 : 뉴스 : 한겨레]

장기간 대량 공급 계약으로 좋은 조건을 맺는데, 왜 납품업체의 실적 악화에 애플이 책임있다는 투로 기사 제목을 쓸까?

기사 내용 중, 아이폰 판매 수익의 대부분은 설계자인 애플에 돌아가고 부품 제조사들에게는 지극히 일부만 돌아간다는 것인데…

최근에 국내에서 많이 얘기됐던 대기업의 ‘쥐어짜기’가 여기에도 있다는 것인지… 좋은 조건의 장기간 계약과 수익 ‘분배’가 같이 가야 한다는 것인지?

그 어느 것도 확실치 않고 그저 기사의 제목으로 소위 ‘제목 장사’의 기사 밖에 되지 않아 보인다. 요즘 한겨레의 기술 분야 기사는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가. 김재섭, 구본권 기자. 둘 다 마음에 안 들어.

2011년 7월 20일

Wednesday, July 20th, 2011

바로 오늘, 오늘을 잊지 못 할 것이다.

2011년 7월 20일. 이제껏 내 인생에서 가장 큰 갈림길. 내가 선택했다, 결국.

맥북 에어 이야기 8; 애플 케어 프로텍션 플랜

Saturday, July 9th, 2011

7월 9일. 애플케어가 끝나는 날. 망설임 끝에 어제 맡긴 맥북 에어, 오늘 찾아오다. 액정 교체에 수퍼드라이브 케이블 불량 사유로 새 것 교체. 거기에 혹시나 싶어 말해 본 에어포트 익스프레스도 내일까지 봐주겠다고 가져와 보란다.

큰 값어치, 애플 케어 프로텍션 플랜. 아울러 알비님께 감사드리며…

사진 처리

Saturday, April 2nd, 2011

애플 iPhoto에서 사진을 발행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

1. MobileMe

2. Facebook

3. Flickr

모블미는 추가 비용이 들지 않고 ((이미 충분히 지불하고 있다!)) 용량도 20기가 정도니 크게 걱정 않고 사진을 올릴 수 있다. RSS 지원을 해서 가족 간에 사진 공유가 쉬운 점도 장점. 그런데 올린 사진을 공유만 하고 더 나눌 방법이 없다. 답글을 다는 등 가족, 친구들과 의견을 나눠야 하는데 그런 장치가 없다는 게 큰 아쉬움.

페이스북은 용량 제한도 없고 답글 등 요즘 갖춰야 할 모든 게 담겨 있는데, 너무 개인적인 부분을 집중–온라인화하는 부담이 있다. 업로드하는 것이니 어디에 담기든 개인정보 노출의 부담은 같다고도 할 수 있지만 페이스북 집중 문제는 좀 다르다.

플리커는, 참 좋은데 페이스북에서 말한 ‘집중’ 문제를 반대로 생각해 보면 좀 멀어진 느낌. 게다가 무료 계정은 한계가 너무 뻔하고…

결국 개인 정보를 놓고 집중–관심, 분산–심심함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