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줄놓 3; ‘미네르바 자술서’ 알고보니 ‘패러디 칼럼’
December 3rd, 2008 | by doccho |파이낸셜뉴스 곽인찬 논설위원이 2일 인터넷 논객으로 유명한 ‘미네르바’가 자신이라는 내용의 칼럼을 내보냈으나, 이는 미네르바를 패러디한 칼럼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곽 위원은 2일 파이낸셜뉴스의 ‘곽인찬 칼럼’을 통해 ‘미네르바 자술서’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자신이 미네르바라고 밝혔다. 이어 “자수한다. 내가 바로 그 … [From ‘미네르바 자술서’ 알고보니 ‘패러디 칼럼’]
패러디가 뭔지 굳이 정의를 하고 싶지도, 링크를 걸지도 않는다. 논란인지 모르고 구글 뉴스에서 읽다가 “패러디”라고 당당히 말하길래 어이가 없었는데 조선일보에서도 저렇게 전하고 있다.
미친거 아닌가. 저런 자들이 기자라고, 또 저런 자들이 동업자 의식인지 가지고 저렇게 감싸대고 하니 도무지 갈피를 못 잡는 사회처럼 보이는 게 아니냐 말이다.
칼보다 센 펜을 휘두르는 자들 아닌가. 한 글자 한 글자 목숨을 걸고 써야 하는 거 아닌가. 글 한편에 자신이 쌓은 그동안의 인생을 모두 걸 수 있을 정도로 치열해야 하는 것 아닌가.
특히 조선일보를 위시해서 자칭 부수 좀 낸다고 하는 신문들 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 ‘먹고 사는데 다들 어렵구나. 위 아래 따로 없다.’ 가끔 왜 신문들이 불과 몇 개월 전 논조와 다른 얘기를 쓰냐고 비판들을 하는데 그 논조라는 게 다른 게 당연하다. 저들은 소속 언론사 안에서조차도 ‘우리’나 ‘논조’ 따위를 걱정하지 않는다. 그저 그 때 그 때 상황에 맞는, 어떻게 하면 그 속에서 살아 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그 때 그 때 상황을 모면하고 줄을 타고 하는 데 관심이 있을 뿐이다. 오늘은 누구를 후려 볼까, 무엇을, 어떤 저녁을 얻어 먹을까, 술집은 강남인지 강북인지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 오직 기자 자신, ‘나’만 존재할 뿐이다.
그런 자들이 자기들 소속 회사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걱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이름 걸고 찍어 낸 소속사의 논조와 다르게 오늘도 내일도 컬럼입네, 사설입네, “패러디”입네 하면서 부끄러운 줄 모르고 쓰레기 활자만을 양산해 내고 있는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이것이 기자들만의 얘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법을 다루는 고귀하고 신성한 어디어디도 그렇고, 방송도 마찬가지고, 힘 좀 쓰네, 방귀 좀 뀌네 하는 자들의 작태가 바로 이것이다. 그것이 오늘의 대한민국의 모습이다. 갈피를 못 잡는 게 아니고 안 잡는 것이고 그럴 의지와 관심이 없다. 오로지 자신의 안위와 내일만 걱정할 뿐이다. 자기 과거도 관심을 끊고 싶을 ‘뿐이고’!
얘기가 이상하게 흐르는 것으로 느끼실 지 모르지만, 왜 우리 나라에 애플의 iTS가 안 들어올까를 생각해 본다. 최근에 가진 생각은 ‘표준’의 문제다. ‘표준’의 부재. 과거 독재로 그 표준을 강요하면서 우선 성장을 강조하고 자신들만의 표준과 나눠먹기로 일관한 사회가 그 관성을 못 버리고 여전히 그렇게 기형적인 ‘표준’을 붙잡고 있다. 사회 어느 구석에서도 온 구성원이 합의하고 이끌어가는 표준이 없다. 이해하기 쉬운 가까운 예는 위키피디어. 우리 성정에 안 맞아 그렇다고? 아니다. 표준에 대한 합의와 구성원들의 관심이 없어서 그렇다. 그거 해서 뭐 하는데라는 생각이 당장 들지 않는가. 표준은 그런 게 아니다. 갖춰 놓으면, 누구든 먼저 표준에 대한 생각을 하는 순간 힘이 생긴다. 그런데 우리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중소기업의 표준은 대기업에 먹히기 일쑤고, 보통 사람들의 표준은 힘 있는 자들의 말도 안 되는 표준에 억눌리기 일쑤다. 합의도 협의도, 논의도 토론도 없다.
이런 사회를 바라보는 외부의 생각을 상상해 보자. 당연하지 않은가. 왜 우리의 표준을 저들이 관심을 갖고 구축해 줘야 하는가. 그들은 그저 바라볼 뿐이다. 만들어 내라고, 갖추라고 할 뿐이다. 표준 얘기는 나중에 좀 더 써 보자.
사회의 공기이고 표준 중의 표준이라 할 여론이, 그 여론을 알리고 편집하고 만들어내는 신문이, 그리고 그 소속 기자들이 저 지경이다.
우리에게 표준은 아직 요원하다.
ps. ‘표준’ 대신에 좋은 낱말이 뭐가 있을지 고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