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 존재를 규정한다

March 14th, 2008 | by doccho |

http://gatorlog.com/?p=943

제목 그대로 베껴오면 이상할 것 같아서 바꾼 제목을 달아 본다. 위는 아거님의 블로그 중 해당 글 주소.

도대체 뭔 소리?

(다행이다. 옆 자리 동료가 철학과 졸업자! 얻어 들은 바를 내 식으로 풀자면)

(아래 어디 글에서 내 아이디 얘기도 했지만) 이제껏 내 직업으로 내 존재를 알리겠다, 스스로 내 존재를 완성해 가겠다라고 생각하고 살아 온 나로서는 반대로 생각해 본다. 존재로 직업을 규정해 갈 때는 아니지 않을까. 앎의 끝이 어디일까. 내 존재를 완전히 안다는 게 불가능한 현실에서, 즉 나날이 새로운 나를 느끼며 (대개 타협적, 비겁함으로 바뀌는 것 같아 불안하지만) 내 존재의 ‘존재’에 대해 놀라는 현실에서 ‘나’를 앎으로 ‘행함’을 이뤄가겠다, 완성해 가겠다 하는 것은 호사가 아닐까. 나랑 친한 ‘누구’ 말로는 ‘철없는 소리’라고 늘 면박을 주던데…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달리 해석이 가능할 것 같다. 내 존재를 내가 규정함으로써 내 행위/삶에 대한 오르막을 힘겹게 오르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누군가 내 존재를 탐구하고 내 ‘행위’를 규정해 주는 수고는 기대할 수 없는 게 현실이 아닐까. 똘망한 눈길로 ‘아빠’를 외치는 우리 두 넘의 아들들도 내가 넥타이를 멜 때와 청바지+운동화를 걸쳤을 때 회사, 학교로 아빠의 행선지를 구분하는 놀라운 직감/판단력을 가졌는데 과연 이들의 그런 이해와 ‘이해(배려)’가 어린 아이들이어서만이겠는가.

소통의 대상인 타인에게 내 존재를 봐 달라는 말은 내 짐을 져 달라는 소리로 들릴까 두렵다. 내가 뭘 하는지 봐 주는 관심/배려를 고마워해야 하는 세상이 지금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지 않은가. ‘나쁜 놈 홍길동은 도둑’이라는 말과, ‘도둑 홍길동은 나쁜 놈’이라는 말 중에서 어느 편이 와 닿는가. 세상은 후자에 더 편하게 반응하지 않을까. 타인을 편하게 배려하는 내 ‘존재’는 좀 더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블로깅이, 새롭게 존재를 규정해 가는 도구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점점 더 블로깅으로 직업/행함을 만들어 가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직업으로 블로깅을 하면서 실착하는 사례도 보인다. 위에 친한 ‘누구’는 요즘 내 ‘컴퓨터로 읽는 행위’에 대해 잔소리가 현저히 줄어 들었다. 되려 잘 해 보라고 격려도 해 준다. 뭐가 될 지 노심초사 7년을 날 ‘따라다녔는데’ 이제는 ‘내가 누군지’ 제대로 알아 가라고 등을 떠 민다.

그럼 맥북 에어. 그걸 사야 한다. – -;; 내 존재를 규정해 주는 다른 고마운 툴, 애플. – -;;

ps. 아거님 블로그에 ‘디카’님이 답글을 다셨다. 게다가 내가 올린 글타래 링크도. 우연이 아니다. 맥북 에어… – -b

[composed and posted with ecto]

Tags: , , , , , , ,

2 Responses to “직업이 존재를 규정한다”

  1. By 아거 on Mar 15, 2008

    “블로깅이, 새롭게 존재를 규정해 가는 도구가 아닐까 싶은 생각” 이라는 대목이 신선하네요. 그런데 그 뒤에 나오는 부연설명은 “블로깅은 새롭게 하는 일을 규정하는 도구”에 더 가까운 예인 것 같습니다.

    블로깅이 “what I do”가 아니라 “who I am”에 영향을 미치는 예가 있을까요?

    온라인의 실존 문제는 온라인 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은 생각했을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2003년에 이런 제목의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I’m Gatorlog, that’s just my pseudonym”
    http://gatorlog.com/mt/archives/001059.html

  2. By doccho on Mar 17, 2008

    아거님께서 방문해 주셨네요. 제 새 블로그 첫 댓글자가 돼 주셔서 고맙습니다. ^^

    끄적이던 것까지 합치면 블로깅 줄을 잡은 지는 꽤 될 것 같습니다만, 매번 부딪히게 되는 고민은 바로 어떤 블로그여야 하는가, 나아가서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경로를 매번 거칠 수 밖에 없더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존재->직업에 관한 해당 글을 읽고 블로깅 자체가 스스로 진행하는 존재에 대한 탐구의 일환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 것이고요.

    올려 주신 링크 따라 주말 내 아이폰으로 읽기를 했는데요, 저 역시 블로거의 ‘아이덴티티’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 왔는데, 아무래도 ‘who he/she is’보다는 ‘what he/she does’에 관한 부분이 그 블로그를, 또한 그 블로깅을 이해하는데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울러 하나의 사안에 대한 그 관점을 이해하는데 불가결한 요소가 바로 그 블로거의 직업적 관점에 대한 이해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해당 블로그가, 블로거는 자아를 탐구해 가는 여정일 지 몰라도 ‘관객’은 그를 이해해 가는 하나의 외피적 통로가 아닐까 싶은 게 지금 생각입니다만, ‘태우’님의 블로그를 보면서 좀 다른 방향의 ‘관객’의 관점도 가능한가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비록 그 분의 이제까지 이력 등을 모르진 않지만 당시 직업에 대한 모든 것을 내려 놓고 ‘어떤 일에 대한 블로그’라기 보다 ‘어떤 일이 되는 블로그’를 한다는 사실에 재미를 느낀 것이지요. 아쉽게도 지금 다 내용을 내리셔서 심도있는 탐색은 못하는 고로 태우님의 블로그를 제가 이해하는 데 대한 좀 더 나은 설명은 어렵습니다만… 제가 깊은 탐구나 많은 시간을 낸 것은 아닌데 태우님이 설정한 블로깅의 방향이 ‘who i am’에 대한 접점을 설정하고자 하는 예가 아닐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사례로 든 것은 그 반대의 지점일 수 있겠다 싶은 것인데, 기자라는 직업적 관점을 그 블로거도, ‘관객’도 계속 확인하며 볼 수 밖에 없는 여건으로 보입니다.

    계속 생각만 하다보니 부담감과 귀찮음이 겹쳐 포스팅 자체가 어려워지겠다 싶어 ‘사진열전’ 등의 가벼운 글도 올립니다만, 블로깅이 진행 될수록 ‘나 자신’에 대한 원초적 고민은 계속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내 본질과 내 외적 상황을 정확히 분리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본다면, 비록 말장난 같아도 계속 내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들어간 글이라면 직업적 관점에서 푸는 글이라도 ‘관객’에게 전달되는 지점은 좀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제 블로그에 제가 답글을 이리도 길게 달다니… ^^ 알비님 포럼 등에서도 좀 짧게 쓰라는 말씀들 하시는데 아무래도 어렵네요. –;;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