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February, 2008

Pro

Thursday, February 28th, 2008

http://www.apple.com/pro/profiles/
http://www.apple.com/business/profiles/
http://www.apple.com/science/profiles/
http://www.apple.com/itpro/profiles/ 

프로. 전문가라고 하면 좋을까. 가끔 위 사이트들을 가 본다. 여러 모양의 전문가들이 각자의 이야기에 매킨토시를 버무려 놓고 있다. 다분히 애플 제품 홍보 사이트라는 면이 두드러지지만, 그런 유치한 생각은 접고 일단 그 내용에 빠져 본다면 여러 전문가들의 이야기가 펼쳐져 있고 각자 자기의 분야에 맞는, 최소한 비슷한 경우를 찾을 수 있다.

전문가. 용어의 혼란이 심한 현대 사회에서 글을 쓰거나 접할 때 한자말을 되새기게 된다.

그 집으로 들어가는 오로지 하나의 문이라고 하면 될까. 국어사전의 말 풀이에 의하면 <집중 연구 + 지식/경험 풍부>로 요약할 수 있다. 집중 연구한 이력이 있어야 하며 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함을 증명까지 해야 전문가 소리를 들을성 싶다.

자칭 전문가입네, 전문가연 하는 사람들이 극도로 늘어난 현대사회지만 여전히 전문가에 대한 대접은 융숭하고 그 전단계로서 평가는 물렁한 편이다. 게다가 불행히도 아직 전문가군에 포함되는 직업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19세기에서 20세기 어디 쯤에 머물러 있어서 우리 사회에서 전문가 행세를 하기란 생각보다 쉽다. 얼마 전 신 모 씨의 경우도 바로 이런 전문가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과연 그가 집중 연구하여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었는지, 그런 요소들이 발휘되었는지, 또한 그런 지식과 경험이 어떻게 채용과 사회적 지위 획득에 기여했는지, 아니면 반대로 지위를 가짐과 동시에 그런 것들이 자동 부여 됐는지 등, 여러 사회 병폐와 맞물려 새로운 전문가 상을 조명할 기회를 잠깐이나마 언론에서 제공해 준 바도 있다.

돌이켜보면, 어릴 때부터 들어 온 박사, 즉 박사 학위에 대한 부모님, 특히 아버지 및 친가 계열 분들의 열망은 가히 높고 높아서, 지금 내가 자랑스러워 마지 않는 내 아이디 독초, doccho도 여기서 비롯된 내 고뇌의 결과물이다. 애플 열렬 사용자로서 ‘부끄럽게도’ 이 아이디를 처음 사용한 것은 인터넷이 막 대중적으로 태동한 시기, 1990년대 초반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나름 심혈을 기울인 MSN, Microsoft Network, 서비스였다. 당시 하이텔 아이디를 바꿔주는 단발 행사가 있어서 그 뒤 내 아이디는 doccho로 오로지 되었다.

독초. 어디 가서 내 아이디를 말하면 통상 듣던 것은 ‘의사십니까’ 하는 질문이었다. 그럼 내 대답은, 왜 살짝 까칠하게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닥터가 의사만 뜻하는 것은 아니지요’하는 것이었다. 당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만든 그 아이디는 Ph. D. doctor의 세 글자를 따고 내 성 cho를 뒤에 붙인 것인데 그 전에 봤던 ‘백투더퓨처’라는 영화에서 극중 마티가 ‘닥’하며 브라운 박사를 부르는 데서 그 쓰임을 알게 된 것이다. 그 전까지는 나도 닥터=의사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다. 어른들 세계에 대한 반발은 당시 내게도 당연한 것이지만 아버지의 아들에 대한 송가 ‘박사’는 어린 내 머리에도 오랫동안 인이 박혀서 그런 것인지 좋은 뜻으로만 해석되어 있었다. 박사=전문가=교수 등등이 아니던가. 뭐든 자신의 필요와 흥미대로 뜻을 펼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모두에게 인정 받을 수 있는, 지금도 내가 최고로 꼽는 학자적 명예를 가장 일선에 놓을 수 있는 최고의 직업이 바로 박사, 교수 등의 전문가였던 것이다. 한창 청춘을 고민할 때 (지금도 이렇게 회자되는 지 모르겠지만) 그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게 가장 행복한 일’이 아닐까 하는 기초적 전제에서 봐도 ‘박사’는 최고의 직업군이라 여겨졌다.
요즘 누구 말로는 부부 교수 25년에 3-40억은 축에도 못 든다는 말이 있지만 난 그 때도, 지금도 돈이 우선일 수 없다고 여긴다. 자식 키우는 아버지 입장에서 달리 말할 거리는 있지만 그건 본질과 다른 논외로 하고.

그제 사무실 후배에게 말한 바 있는데, 학연, 지연 등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중요하게 작동하는 기제이고, 여전히 그 표지는 사람을 평가하는데 최우선으로 고려되고는 있지만, 과거와 달리 그 표지와 다른 표지를 먼저 선 보이며 평가를 요청할 때 ‘치워’라는 인식은 사라져 가고 있지 않을까 싶다. 대표적으로 이런 블로그를 보자. 어디서 나고 자랐고 어디 나왔는지 (여전히 중요할 수 있겠지만) 먼저 그 요소를 놓고 글을 판단하지는 않는다. 최고의 만화를 그려도 졸업장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은 여전하다해도 대중은 그 만화가를 여전히 뜨겁게 사랑한다는 사실도 우리는 소위 ‘넷심’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의 발단은 맥북 에어다. 상주하다시피 하는 알비님의 포럼에서 맥북 에어에 대한 글이 활발히 올라오고 자연스레 나도 ‘프로’가 아님을 선언하고 ‘에어처럼 자유롭게’ 살아 볼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이런저런 고민 끝에 일단 기존의 ‘프로다움’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맥북 프로를 쓰면 프로고, 맥북을 쓰면 프로가 아닌 ‘범인’이다라는 유치함은 여기에 발 붙일 곳이 없다. 이렇게 한 자락 깔아 놓아야 하는 세태와 글로 전달하기의 어려움에 아쉬움은 남지만 읽는 자나 쓰는 자(나 자신)나 모자라긴 매한가지이기 때문에 불가결한 일로 생각된다)

프로다움. 전문가다움. 다시 뜻풀이에 기댄다면 연구(공부)와 그로 인한 지식/경험의 우러남에서 그 ‘움’스런 기운이 보일 것이라 생각한다. 전에는 그런 연구, 지식, 경험이 특정 분야에 대해서만, 그리고 알량한 졸업장으로만 확인되고, 확인하려고 했지만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다. 학연, 지연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중요하게 작동되는 그 기제와 별도로 다른 기제가 함께 돌아가고 인정 받을 수 있는 시대이다. 반대로 졸업장만으로, 박사학위만으로 25년을 교수라고 떠들고 다닐 수도 없다. 이미 우리는 전과는 다른 검증과 평가의 패러다임 변화를 맞이했다.

맥북 프로를 쓴다고 전문가이겠는가. 사진기를 무시로 갈아치운다고, 자칭 사진 전문가입네 교수입네, 한들 그게 전문가이겠는가. 도구는 익혀 쓰는 손에 따라 다른 가치를 내 뿜는 것이고 내가 캐논 D1을 써도 그건 그냥 일개 사진일 뿐, 작품이 아니다. 과연 내가 지향하는 전문가로서 가치가 ‘움’스럽게 나타나려면 얼마나 공부하고 경험으로 보여져야 할까. 나는 10여 년을 애플 제품을 써 왔으므로 애플 전문가일까.

시대가 인정하는 ‘프로다움’은 어느 정도일 지 궁금하다. 진정 맥북 프로가 어울린다는 얘기를 들으려면 얼마나 더 가야할까. (실제로 이사가 된 사례를 빗대) 주변에 잠시 ‘자기 기안’이라는 말이 유행했는데 이런 자기 기안 내지 기만 없는 진정한 전문가의 도구는 뭐가 되어야 할까. 오늘의 의문이다.

[composed and posted with ecto]

Photo Stream: MacBook Air 1

Wednesday, February 27th, 2008

맥북 에어. ‘알흠답다’는 표현을 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 정말 아름답네요.

[linked to flickr]

[composed and posted with ecto]

Testing Ecto for Windows

Tuesday, February 26th, 2008

http://infinite-sushi.com/software/ecto/ 

맥북 에어에 심하게 뽐뿌를 받으면서 블로깅 수단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아래 플록으로 블로깅을 몇 개 해 봤는데 편하고 좋은 점이 있는 반면 태그 삽입에 약간의 문제가 있고 사무실의 윈도와 집의 맥과 자료 연동이 어려워 발행에 만족할 뿐 축적된 백업 자료로 활용이 좀 아쉽다. 이런 전차로 다른 블로깅 수단을 찾던 중 맥에서 많이 사용되는 엑토의 윈도 버전이 있는 것을 알았다. 지금 이 글로 첫 시험을 해 보고 있는 것이고.

일단 첫 화면은 예의 윈도 화면 구성인데 이 글을 마무리 짓고 발행을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될 지 자못 궁금해진다. 블로그 정보를 간단히 입력만 했는데도 발행한 글을 모조리 읽어 오는 걸 봐서는 윈도와 맥을 오가며 작업해도 연속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게 된다.

자, 일단 여기까지 글을 쓰고 발행을 해 보기로 하며, 클릭!

-수정 추가-

생각보다 괜찮다. 큰 문제 하나는 윈도용에서 입력 시 ‘전자/반자’ 개념의 입력이다. 영문 입력 시 자꾸 공간이 큰 전자 입력으로 들어간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다시 찾아 봐야 할 것 같고… 태그 부분도 플록과 다른 점이다. 옵션에서 조정하여 워드프레스의 태그 기능 항목으로 태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플록으로 블로깅해 올린 글들과 달리 본문 하단에 ‘테크노라티 태그’ 항목을 별도 삽입하거나 발행 후 편집으로 따로 워드프레스 태그를 넣을 필요가 없다. 그 외 <p>와 <br>을 구분하는 점도 큰 장점으로 보인다. 위에 한글 문단 쓰는 법에 따라 들여쓰기도 구현해 봤는데 잘 나올 지 모르겠다. 스페이스를 네 번 쳐야 한 글자 크기가 된다. (추가) 생각보다 깔끔하게는 안 된다.

[composed and posted with ecto]

Englishman in New York – To Be a Star

Saturday, February 23rd, 2008

 

Opinion: 유튜브 한국판이 뜬 지 시간이 흘렀다. 미디어들은 국내에 미치는 반향을 계산하느라, 그리고 대개는 깎아 내리느라 지면을 할애했다. 요는 결국 성공이 어려울 것이다, 라는 것이었다. 특별히 ‘한국적 상황’에 대한, 예의 그 이유를 대며 말이다.

Fact: 나는 판도라 티비 등을 이용하지 않는다. 요즘 내 주위 사람들이 내개 자주 하는 말은, “조수연 씨는 매일 영어로 된 사이트만 보네’라는 것이다. 나는 맥오에스 텐도 영문 메뉴 우선 구성으로 사용한다. 2MB는 ‘영어몰입교육’을 한단다. 결정적으로 나는 미국에, 지극히도 가고자 하고 있다.

Opinion: 위 유튜브 링크의 데이빗 최를 알게 된 것은 “You Tube” (A Love Song) – Original Song – Acoustic Version 위 링크를 보고 나서다. 한 마디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킨, 아마도 그의 인생에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었을 것이다. 처음 그 링크 댓글에는 눈이 풀렸다는 둥, 약을 하냐는 둥, 이상한 댓글도 달렸지만 본 사람 수가 증명하듯, 그리고 현재 그의 유튜브 채널이 구성되는 걸 보면 이런 반응은 그야말로 무시할만한 반응이다.

Fact: 그는 영어를 사용한다. 선명한 그의 이름 Choi.

Opinion: 한국적 상황은 과연 무엇인가. 유튜브는 한국적 현실에 맞지 않고 아래의 그는 한국적 현실에 부합하는 현상인가.

Fact: 유튜브 한국판에 대한 기사에는 어김없이 아래 링크의 주인공이 등장했다.

guitar 

아래는 보너스.
http://phobos.apple.com/WebObjects/MZStore.woa/wa/viewAlbum?i=355011&id=355033&s=143441 

Blogged with the Flock Browser 

트랙백 보내는 방법

Saturday, February 23rd, 2008

제가 쓰는 워드프레스 테마에 트랙백 링크가 들어 있지 않네요. 트랙백을 보내시려면 해당 글 제목에서 링크 주소를 복사하시고 그 주소 끝에 ‘/trackback/’이라고 붙여 쓰시면 됩니다. 작은 따옴표는 빼시고요~

맥북 에어

Friday, February 22nd, 2008

 

역시 플록에서 시험삼아 올려 본다. 맥북 에어. 국내에도 발송이 시작되었다지… 알비님, 언제 받으십니까! ㅠㅠ

Blogged with the Flock Browser 

Flock Browser – The Social Web Browser

Friday, February 22nd, 2008

Flock Browser – The Social Web Browser

이건 시험삼아 올려 보는 글이다. ‘플록’. 굉장하다. 문제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 이뤄지고 어느 정도 범위와 지지를 받는 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그 복잡성에 대해 기껏 이해하고 공부하면 새로운 복잡함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들어 붙어 ‘마스터’할 자신은 있는데 마스터를 위한 공부가 될 뿐, 정작 이용을 위한 공부는 안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플록은 파이어폭스 기반의 브라우저로, 어제부로 블로그며 뭐며 새 단장을 하고, 이제까지 읽어 ‘버리는’, 즉 읽고는 다시 안 찾을 듯 지나쳤던 온갖 현상에 대해서 좀 달리 취급해 볼까 하는 생각을 하는 연장선에서 발견한 ‘물건’이다. 이렇게 블로깅도 바로 가능하고…

테마(껍데기)는 확실히 내 취향은 아니고 각종 ‘캔디바’류의 아이콘도 내 취향은 아니지만, 이제까지 잘 써온 네비게이터를 버리고 파폭 베타 3로 사무실에서 사용할 업무용 브라우저를 옮기는 작업을 하면서 비업무용 브라우저로 사용할 생각을 하고 있다.

한번 시도해 볼만하다. 다만 미국 쪽 서비스를 주로 써야 제 맛이 날 듯 하다.

Blogged with the Flock Browser

A New Life

Thursday, February 21st, 2008

새 단장을 했습니다.기록의 의미를 다각도로 모색만 하다가는 기억 저편으로 모두 날려 버릴 수 있겠다는 위기감도 들었습니다.

‘퍼블리시’, ‘발행’을 한다는 의미에서 과연 블로그의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할 지 어렵기만 합니다. 일단 시작하고 계속 깎아세워봐야 그 모습이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블로그를 여러 개 개설합니다. 진중함과는 거리가 있는 제 게으름의 소치로 언제나 결정이 늦지만 이번에는 좀 달리 가 보고자 합니다. 아이폰 블로그는 제 일상의 편린이 담긴 그릇입니다. iTS 블로그는 제가 지난 10여 년 동안 쌓은 게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만들었습니다. ‘Loves’는 제 가족만의 폐쇄적 형태로 갈까 합니다. 100년. 제 인생의 궁극적 모습이 될 것입니다.